[민우액션] 1026기자회견 - 고양시는 성평등정책 강화로 조직 재편하라!

사무국
2022-10-28
조회수 1108


<사진설명: 고양시청 앞 계단위에 17명의 여성단체 회원들이 여성가족과 폐지 결사반대와 성평등정책 손팻말을 들고 서있는 모습>


<사진설명: 이도영 고양여성민우회 대표 사회로 기자회견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

<사진설명: 이혜경 고양YWCA가정폭력상담소장이 발언하는 모습>


윤석열정부의 여성가족부 폐지 정부조직법 개편안에 이어 

고양시가 여성가족과를 가족정책과로 개편하는 안을 들고 나왔다. 

여성을 ‘가족’에 묶어 출산양육, 청소년, 다문화 정책까지 담당해온 

여성가족과의 역사는 생소하지 않다. 

여기서 여성마저 지우고 여성을 출산과 양육의 대상으로 가족의 프레임 안에 한정지어 

시정을 꾸리겠다는 것은 명백한 과거로의 퇴행이다.

 

2022년 10월26일 고양여성민우회와 고양YWCA회원들이 고양시청 앞에 모여들었다. 

"여성가족과 폐지 결사반대" 피켓과 "여성가족과 역할 강화" 손팻말을 들고 계단 위에 섰다.


이도영 대표의 사회로 여성폭력 피해지원단체, 노동단체의 이어진 발언을 전한다. 


“여성가족과가 가족정책과로 개편되면 가족에게 행해지는 폭력은 

피해자 안전과 보호가 다른 어떤 범죄보다 절실함에도 피해자인 여성은 가족 보호 뒤로 밀려날 것이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누구나 살기 좋은 인권도시 고양’ 이라는 인권행정 비전을 내놓았다. 

여기서 말하는 ‘인권’은 누구의 인권인가?

고양시 인구의 절반이 넘는 여성들이 폭력으로부터 안전할 권리는 인권이 아닌가?“

- 이혜경 고양YWCA가정폭력상담소장 


"가족정책과로의 조직개편은 고양시가 여성가족과의 여성을 

생물학적 지정성별로서의 여성에 국한해서 이해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선제적으로 제정해 다른 지자체의 좋은 선례가 된 성평등조례의 성평등을 양성평등으로 

이해했음을 자인하는 것이라 밖에 볼 수 없다.

전문기관으로서 상담소와 쉼터를 비롯한 피해자지원기관과 마찬가지로 

고양시 또한 공동체 내 성평등 문화확산과 성희롱성폭력예방, 

고양시 내 젠더폭력 피해자 지원의 과정에 있어 그 존재의 근거와 역할의 기준이 

어디에서 출발해 누구를 위해 향할지 관점이 담긴 언어로 분명히 답해야 할 것이다."

이정효 고양성폭력상담소장


"여성친화도시인 고양시는 여성커뮤니티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 여성회관, 

여성폭력방지사업, 고양여성네트워크 등 다양한 사업들을 

여성가족과 안에서 성평등한 사회의 실현을 목표로 성평등과 성인지적 관점과 가치를 가지고 

사업과 정책을 이끌어 가고 있다. 

그런데 성별의 차이가 낳은 차별과 불평등을 끊기 위해 

성인지적 관점의 도입이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고양시는 조직개편에서 여성을 지우는 작업을 하고 있다. 

여성가족과가 가족정책과로 개편이 되었을 경우 성인지적 관점에서 성평등한 목표를 가지고 

사업과 정책을 이끌어갈 축소될 것이 뻔하다."

-박귀영 고양여성의쉼터 소장


"2022년 우리나라 성별 임금 격차는 38.1%로 전년도에 비해 2.2% 더 벌어졌다.

회원국 중 한국은 30년간 성별임금격차 1위이다. 

이것이 여성 개인 능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는가?

직장에서 아이가 아프다는 연락을 받을 때 달려가는 사람이 누군인지, 

여성과 남성이 육아와 커리어에 공평하게 시간을 분담하고 있는지, 

우리의 직장문화가 여성이 육아휴가를 눈치보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사회구조인지 질문하고 싶다.

남녀 성별 임금 격차와 여성 고용의 문제는 근본적으로 여성차별의 문제임을 인식하고 

여성가족부 폐지가 아닌 보다 적극적으로 여성 차별를 해결할 수 있는 여성가족부의 역할 강화하라!"

- 전선윤 고양시 노동복지센터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