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평등 도서 폐기에 맞서는 성평등 권리 선언문
2023년 충남, 충북 지역의 보수 학부모 단체가 성평등 도서를 ‘유해도서’라며 폐기 민원을 제기한 것을 시작으로, 공공도서관의 성평등 도서를 퇴출하는 움직임이 전국 지자체로 확산되었다. 경기도 교육청의 경우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를 비롯해 학교도서관의 성평등, 성교육 도서를 5,857권을 검열하여 폐기/열람제한했다. 경기도 교육청에 대한 규탄에도 불구하고 보수 학부모 단체의 민원을 핑계삼아 어떠한 사과나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여전히 검열을 반복하는 행태로 청소년의 성적 권리를 삭제하는 데 앞장서고 있을 뿐이다.
성평등도서 폐기사태는 교육의 기회를 침해하는 명백한 차별이다. 교육현장에서 성평등을 자유롭고 평등하게 배우고, 몸과 섹슈얼리티를 정치적 문제로 토론할 수 없도록 만든다. 특히 성적 권리가 무시되거나 성을 배우면 안될 대상으로 오랫동안 배제됐던 어린이, 청소년, 성소수자, 장애인, 이주민 등 이미 교육 현장 안에서 차별적 위치에 있는 이들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배울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다. 모두의 성적 권리가 보장되기 위해선 사회가 정해놓은 비정상적이거나 취약한 몸, 탈성애화 혹은 과잉성애화된 몸이란 억압적 규범에 맞서야 한다. 자신의 몸과 감정을 표현하고, 긴장과 갈등을 매 순간 도전하며, 민주적 관계를 형성하는 경험을 제한당하지 않아야 한다. 공공도서관에서, 교육현장에서 누구나 성평등 도서를 읽고, 성적/관계와 자기정체성을 탐구하며, 성을 즐길 권리를 배우고 민주주의를 토론할 수 있어야 한다.
대통령은 구조적 성차별이 마치 개인, 성별, 세대 등의 대립처럼 보이게 하는 기만적인 정치로 책임을 지웠다. 국회는 성평등이 민주주의의 토대이며 추구되어야 할 지향이라는 사실을 무력화 시켜왔다. 성평등을 억압하고 페미니즘을 반대하는 정치는 반인권적 폭주를 일삼으며 성적지향, 성별정체성을 억압하고 성차별 선동에 앞장서고 있다.
이렇게 정치가 성평등을 부정하며 퇴행하는 사이 성차별과 젠더폭력은 심화되었다. 정치의 장에서 성평등을 부정하는 만큼 공공의 영역도 성평등 도서 검열과 폐기라는 퇴행을 거듭한다. 성평등을 정치적 쟁점으로 삼지 않는 정치권이 민주주와 인권, 성적 권리가 담긴 도서를 검열하고 공공도서관 사서의 권한을 탄압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검열과 성차별 정치에 맞서 성평등을 보편적인 권리이자 사회 전반의 평등의 가치를 재구성하기 위한 민주주의의 필수적 과제임을 더 크게 외칠 것이다. 젠더폭력을 드러내고, 피해자로서의 권리를 요구하고, 구조적 성차별과 억압에 맞서 싸울 것이다.
더 이상, 유해성 논란을 운운하지 말라. 차별과 불평등이 더 유해하다. 기득권의 자유만을 위해 계엄령을 선포하고 시민에게 총구를 겨누는 반민주주의, 반헌법, 반페미니즘 정치권력이 가장 큰 유해함이다. 성적 권리가 보호와 통제, 성적동의 능력과 자격문제가 되지 않기 위해 성평등 정치로 성차별 정치를 몰아내자. 평등 정치의 기회와 공간을 넓히는 시도를 더 가열차게 해가자. 성평등 없이 모든 시민의 평등한 삶이 가능하지 않기에 우리는 성평등 도서를 계속 펼치고 읽을 것이다. 성차별 정치의 폭주를 끝내고 성평등한 사회를 향해 나아갈 것이다. 일상에서 광장에서 투쟁하는 우리들은 변화를 먼저 만들고 정치권력에 맞서는 힘을 키울 것이다. 오늘 모인 우리들은 서로 다른 삶에서, 나다운 말과 행동으로, 모두의 삶을 지키는 더 단단하고 너른 성평등을 펼쳐갈 것을 선언한다.
2024년 12월 10일 <12.10 세계인권의날 맞이 성평등 권리 선언대회> 참가자 일동
성평등 도서 폐기에 맞서는 성평등 권리 선언문
2023년 충남, 충북 지역의 보수 학부모 단체가 성평등 도서를 ‘유해도서’라며 폐기 민원을 제기한 것을 시작으로, 공공도서관의 성평등 도서를 퇴출하는 움직임이 전국 지자체로 확산되었다. 경기도 교육청의 경우 노벨문학상 수상자인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를 비롯해 학교도서관의 성평등, 성교육 도서를 5,857권을 검열하여 폐기/열람제한했다. 경기도 교육청에 대한 규탄에도 불구하고 보수 학부모 단체의 민원을 핑계삼아 어떠한 사과나 재발방지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여전히 검열을 반복하는 행태로 청소년의 성적 권리를 삭제하는 데 앞장서고 있을 뿐이다.
성평등도서 폐기사태는 교육의 기회를 침해하는 명백한 차별이다. 교육현장에서 성평등을 자유롭고 평등하게 배우고, 몸과 섹슈얼리티를 정치적 문제로 토론할 수 없도록 만든다. 특히 성적 권리가 무시되거나 성을 배우면 안될 대상으로 오랫동안 배제됐던 어린이, 청소년, 성소수자, 장애인, 이주민 등 이미 교육 현장 안에서 차별적 위치에 있는 이들이 자유롭고 평등하게 배울 권리를 박탈하는 것이다. 모두의 성적 권리가 보장되기 위해선 사회가 정해놓은 비정상적이거나 취약한 몸, 탈성애화 혹은 과잉성애화된 몸이란 억압적 규범에 맞서야 한다. 자신의 몸과 감정을 표현하고, 긴장과 갈등을 매 순간 도전하며, 민주적 관계를 형성하는 경험을 제한당하지 않아야 한다. 공공도서관에서, 교육현장에서 누구나 성평등 도서를 읽고, 성적/관계와 자기정체성을 탐구하며, 성을 즐길 권리를 배우고 민주주의를 토론할 수 있어야 한다.
대통령은 구조적 성차별이 마치 개인, 성별, 세대 등의 대립처럼 보이게 하는 기만적인 정치로 책임을 지웠다. 국회는 성평등이 민주주의의 토대이며 추구되어야 할 지향이라는 사실을 무력화 시켜왔다. 성평등을 억압하고 페미니즘을 반대하는 정치는 반인권적 폭주를 일삼으며 성적지향, 성별정체성을 억압하고 성차별 선동에 앞장서고 있다.
이렇게 정치가 성평등을 부정하며 퇴행하는 사이 성차별과 젠더폭력은 심화되었다. 정치의 장에서 성평등을 부정하는 만큼 공공의 영역도 성평등 도서 검열과 폐기라는 퇴행을 거듭한다. 성평등을 정치적 쟁점으로 삼지 않는 정치권이 민주주와 인권, 성적 권리가 담긴 도서를 검열하고 공공도서관 사서의 권한을 탄압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검열과 성차별 정치에 맞서 성평등을 보편적인 권리이자 사회 전반의 평등의 가치를 재구성하기 위한 민주주의의 필수적 과제임을 더 크게 외칠 것이다. 젠더폭력을 드러내고, 피해자로서의 권리를 요구하고, 구조적 성차별과 억압에 맞서 싸울 것이다.
더 이상, 유해성 논란을 운운하지 말라. 차별과 불평등이 더 유해하다. 기득권의 자유만을 위해 계엄령을 선포하고 시민에게 총구를 겨누는 반민주주의, 반헌법, 반페미니즘 정치권력이 가장 큰 유해함이다. 성적 권리가 보호와 통제, 성적동의 능력과 자격문제가 되지 않기 위해 성평등 정치로 성차별 정치를 몰아내자. 평등 정치의 기회와 공간을 넓히는 시도를 더 가열차게 해가자. 성평등 없이 모든 시민의 평등한 삶이 가능하지 않기에 우리는 성평등 도서를 계속 펼치고 읽을 것이다. 성차별 정치의 폭주를 끝내고 성평등한 사회를 향해 나아갈 것이다. 일상에서 광장에서 투쟁하는 우리들은 변화를 먼저 만들고 정치권력에 맞서는 힘을 키울 것이다. 오늘 모인 우리들은 서로 다른 삶에서, 나다운 말과 행동으로, 모두의 삶을 지키는 더 단단하고 너른 성평등을 펼쳐갈 것을 선언한다.
2024년 12월 10일 <12.10 세계인권의날 맞이 성평등 권리 선언대회> 참가자 일동